페이지 정보
본문
① 4차 산업혁명과 저성장의; 환경 속에서 조선경기와 기계수출 산업으로
성장 모멘텀을 마련하는데 코디네이터 역할을 위해 워크숍을 참가하여,
② 창업(StartUp)보다 성장(ScaleUp)을 통한 혁신 성장과 지역 성장 생태계를
조성하여 성장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경제 활성화를 도모함.
①사전준비;(참가기업 선정기준마련, 참가기업사전 분석, 해외사례 비교분석)
②[1일차]11월/15일 VIP 미팅, 개회식( 개회사, 환영사, 축사)
(주제강연) 지역혁신과 스케일업(창원); 다니엘 아이젠 버그
(스케일업생태계와 기업가정신) 스케일업 생태계의 필요성과 기업가정신역할
(스케일업 생태계의 사례논의) 보스턴 지역의 스케일업 생태계조성 사례
(네트웨킹) 참가자들 교류 및 참가기업의 성장을 위한 네트웨킹
③[2일차]11월/16일
(스케일업 생태계 사례논의) 덴마크 코펜하겐 자전거 도로생태계 사례
콜롬비아 마니쟐레스-마스 사례(마르셀라 에스코바 아랑고)팀장 직접설명
(성장기업(ScaleUp)육성 프로젝트) 다니엘 아이젠버그
(스케일업 툴킷) 기업단기 성과 실행 프로그램; 다니엘 아이젠버그
성장기업 3C(고객, 자본, 역량) 실행요소를 실행하여 단기성과 매출증대
(팀별 발표준비) 8개 팀 발표(기업성장, 생태계조성, 스케일업 후속)
④[3일차]11월/17일
(팀별발표) 8개팀 기업성장; 창원지역 생태계육성; 창원지역 스케일업 후속 프로젝트
(스케일업 전략 및 마무리 강의) 보스턴, 밀워키, 덴마크, 브라질, 콜롬비아 등 사례와 비교
글로벌 시장전문가 주요활동 및 역할
① 워크숍 원활한 진행과 성과를 위한 활발한 참여와 토론 소통코디네이터역할;
짧은 시간에 복잡한 외국사례를 동시통역과 번역된 자료만으로는 쉽게 이해하고 참
여하여 토론하기는 매우 어려우며, 성장생태계 워크숍이 한국에서 처음으로 개최되고
문화적 차이로 질문과 발표, 토론형식의 워크숍에 익숙하지 못한 여건을 감안하여 이
미 이런 소통과 문화에 익숙한 시장전문가와 코디네이터의 역할이 필요함
② 워크숍 해외사례에 인용된 현지지역의 Business 경험자과 국내사정 이해;
스케일업 워크숍이 한국에서는 처음 진행되고 또한 워크숍에 나오는 사례인 (1)보스
턴(2)덴마크 코펜하겐 (3)콜롬비아 마니잘레스의 사례가 복잡하고 현지여건을 이해하
기 쉽지 않아서 현지여건과 실태를 현지에서 직접 체험하고 Business 해본 경험자가
필요하며 또한 워크숍 진행자인 다니엘 아이젠버그 한국사정과 창원에 대한 깊은 이
해가 부족하여 양쪽지역을 이해하고 비즈니스경험자가 그 차이와 공통점을 참여자들
에게 설명하여 충실한 워크숍이 되도록 조력자.